


이것은 언젠가 일어날지도 모르는 남북관계에 대한 예언이 아닙니다. 이것은 지금 일어나고 있는 북한의 변화에 대한 짧지만 정확한 보고서입니다.
남한에 자리잡은 탈북민들, 오랜 시간 북한을 연구해온 전문가들이 모두 입을 모아 하는 말이 있습니다. '남한 사람들은 북한에 대해 몰라도 너무 모른다!'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남북 평화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지금! 그 어느 때 보다 북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그동안 무관심과 편견으로만 대해 왔던 북한을 제대로 된 시각으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요? 여러분은 북한에 대해 어떻게, 아니 얼마나 알고 있나요?
북한은 정말 침체된 한국 경제의 구원 투수가 되어 줄 수 있을까?
북한에도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들이 있다는데 사실일까?
국내에서 일어났던 여러가지 해킹 범죄가 북한 소행이라는 소문은 사실일까?
김정은 정말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절대 권력자일까?
낯설기만 한 북한에 대한 궁금증을 한 방에 해결해 드리기 위해 윌라가 준비했습니다.
현재진행중인 북한의 변화를 밀착 마크해 온 국내 최고의 북한 전문가들이 북한의 정치,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사실만을 있는 그대로 전합니다!
“By failing to prepare, you are preparing to fail (준비에 실패하는 것은 실패를 준비하는 것이다).”
- 벤저민 프랭클린
한반도에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 그 속에 숨겨진 기회를 찾기 위해서는 누구보다 빠르게 준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균형잡힌 시각으로 북한을 제대로 이해할 때, 그들이 가져올 새로운 기회가 보이지 않을까요?
[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지금의 북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모든 대한민국 국민
- '적대국' 북한이 아닌 '파트너' 북한으로서 북한의 진짜 모습을 알고 싶은 분
- 미래의 블루오션으로 점쳐지는 북한의 포텐이 궁금한 분
- 북한이라는 무대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꿈꾸는 분
한국인 최초 평양 순회 특파원 진천규 기자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저자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 기자로 합류해 판문점 출입 기자로 활동하며 북한 취재와 인연을 맺었다. 지금까지 여섯 차례의 방북 취재 과정에서 남북관계의 결정적인 장면들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2000년 평양 정상회담 당시 6.15 공동선언 현장에서 단독으로 찍은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환하게 웃으며 서로 손을 잡고 들어 올리는 사진이 잘 알려져 있다. 이로부터 17년 뒤인 2017년 10월, 한국 언론인의 출입이 불가한 상황에서 유일하게 방북 취재에 성공했고, 2018년 7월 현재 총 네 차례에 걸쳐 평양, 원산, 마식령스키장, 묘향산, 남포 등 북한의 다양한 변화상을 취재했다.
오기현 SBS PD
SBS에서 다큐멘터리 《히딩크 사단의 비밀》, 《화류 속의 한류》 등을 제작했으며, 《그것이 알고 싶다》 팀장을 역임했다. 1998년 이래 30여 차례 이상 평양, 신의주, 개성, 금강산 등을 방문하며 북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특히 1999년에는 남북한 당국 최초의 공식 승인을 받아 《조경철 박사의 52년만의 귀향》 프로그램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2000년 《평양뉴스2000》, 2005년 《조용필 평양공연》을 기획하고, 조용필의 평양공연 전 과정을 다큐멘터리로 엮은 《조용필, 평양에서 부르는 꿈의 아리랑》을 제작했다.
2005년 제11회 통일언론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통일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북한과 늘 새로운 교류를 모색하고 있다.
세종연구소 정성장 연구기획본부장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파리10대학교 정치학 석·박사를 졸업했다. 세종연구소 남북한관계연구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한 저서와 논문으로는 『현대 북한의 정치·역사·이념·권력체계』, "김정일 시대 북한 국방위원회의 위상·역할·엘리트』(2010)외 다수가 있다.
통일부 김경산 주무관
탈북자 정착교육기관 하나원 소속, 탈북자를 돕는 탈북자
민경태 북한학 박사
『서울-평양 스마트시티』저자, 재단법인 여시재 한반도미래팀장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경제·IT 전공으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국제관계 전문위원,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연구위원이다. 현재 재단법인 여시재에서 한반도의 미래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세종연구소 최은주 연구위원
세종연구소 동아시아협력센터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