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병을 고치기 위해서든 단순히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서든, 자발적으로 혹은 비자발적으로 약을 먹습니다. 하지만 무슨 약을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은지, 약이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광고에서 많이 접하는 잘 알려진 약을 구입하는 것이 안전한지 등 모르는 것 투성이입니다.
√ 종합 비타민, 정말 나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 정부와 전문가보다 소문과 광고를 믿는 이유는?
√ 약과 독은 한끗 차이! ㅇㅇ으로 결정된다?
√ 적절한 음주, 심장질환을 낮추고 건강에 유익하다?
√ 숙취해소제, 정말 숙취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약일까?
√ 건강유지를 위한 올바른 식생활은?
본 강의에서는 세계적 독성학자 서울대학교 정진호 교수와 함께 우리가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은 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쳐보고, 올바른 약의 사용법을 익혀봅니다.
[ 목차 ]
01. 위대한 약의 탄생과 인간의 수명
02. 오래 건강하게 사는 법
03. 21세기 약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화상
04. 왜 우린 소문과 광고에 의존할까?
05. 약과 독
06. 약이 독이 된 대표적 비극
07. 술 깨는 약, 과학이 풀지 못한 숙제
08. 가장 위험한 독, 담배
09. 건강유지를 위한 올바른 식생활
10. 비타민, 노벨상이 가장 사랑한 주제
11. 종합비타민, 먹어야 할까?
[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약의 역사에 대해 궁금하신 분
-약에 대한 지식을 쌓고 싶은 분
-약에 대한 옳고 그름의 식견을 넓히고 싶으신 분
독성학자.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제약학을 전공했고, 생명약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독성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국립보건원(NIH)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지난 30여 년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로 학생을 가르치며 약, 식품, 대기, 물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인체 독성과 유해화학물질의 안전성을 연구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장, 서울대학교 환경안전원장, 한국독성학회 회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회장, 아시아 독성학회 부회장을 지냈으며, 국무총리실 식품안전정책위원회 심의위원, 국회 가습기 살균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의약학부 학부장을 맡고 있다.
의약품, 비타민, 중금속, 은 나노물질 등의 인체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로 〈약리학 및 실험치료학 저널JPET〉, 〈톡시콜로지컬 사이언스Toxicological Sciences〉와 같은 독성학 분야 메이저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8년에는 중금속 비소에 관한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국내 학자로 유일하게 〈케미컬 리서치 인 톡시콜로지The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가 꼽은 ‘지난 20년간 독성학 연구에 주요 공헌을 한 300인’에 선정, 특집호 표지를 장식했다. 2013년 세계독성학(ICT) 학술대회에서 다이크만 상(Deichmann Lecture Award)을 받아 수상 기조강연을 했다. 2017년에는 일본독성학회(JSOT) 학술행사에 초청받아 개막식 기조강연을 했다. 이 강연에서 “지난 15년간 비소의 인체 유해성 연구”를 주제로 국내 먹는 물의 비소 노출 현황과 비소가 심혈관 질환과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비소의 독성과 그 심각성을 알렸다.